ESP32 참 라이브러리가 잘 되어 있다.
LCD 128x64 OLED 를 구하게 되어 한번 사용해본다.
0.96inch LCD 는 중국사이트에서 아주 쉽게 구할수 있다.
요즘에는 아두이노가 널리 보급되어 있어 PCB로 연결되어 있는 LCD 로 판다.
10년전엔 LCD 납땜하고 있었는데, 요즘에는 그럴일이 없어서 참 편하다.
아두이노 방식으로 판매하는 LCD 인터페이스에 I2C / SPI 두가지 방식이 있다.
LCD Driver 은 SSD1306 으로 되어 있다.
I2C로 선택해서 작업을 시작했다.
LCD 색상 종류는 아래와 같이 3개가 있다. ( Blue, White, Yellow/Blue )
![]() |
![]() |
![]() |
ESP-IDF 설정에 들어가서 SSD1306 Configurations 에서 I2C Interface Pin 을 설정해준다.
기본으로는 SSD1306 설정은 등록되어 있지 않다.
아래에 있는 components / ssd1306 을 동일한 폴더 위치에 복사를 해주게 되면 SSD1306 설정이 보이게 된다.
SSD1306 관련 인터페이스를 설정한 후에 아래 중에서 테스트를 한가지 해보면 된다.
테스트로는 2가지 정도 해봤는데 모두 잘 동작한다.
물론 CMakeLists.txt 에서 아래와 같이 ssd1306을 미리 정의 한다.
idf_component_register( SRCS "main.c"
INCLUDE_DIRS "."
REQUIRES ssd1306
)
아래는 동작하는 사진을 올렸다.
혹시나 Yellow / Blue 타입에 대하여 오해가 있으신 분들이 있는데, Yellow, Blue 를 선택해서 화면을 나타낼수 있는 것이 아니고. 아래 사진과 같이 영역이 나뉘어 표시가 된다.
github 라이브러리.
https://github.com/nopnop2002/esp-idf-ssd1306
'MCU > ESP32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SP32 New Project 생성시 VSCode 화면 갱신 안될때. (0) | 2023.02.26 |
---|---|
ESP32 IDF Filesystem Name (0) | 2023.02.23 |
ESP32 Unique ID?? (0) | 2023.02.19 |